교통사고 음주운전 전담센터 1668-4953 , 010-6785-7796

수원교통사고변호사 수원음주운전변호사 법률사무소 태온

칼럼 모음

(윤명선 칼럼) 팔라하시더니 돌아가셨소.

법률사무소 태온 교통사고 음주운전 전담센터 2013. 10. 8. 11:03
728x90

-사람은 오는 순서대로 가지 않는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에 올 때 순서대로 오지만 갈 때는 순서가 없음이 문제입니다. 누구나 80세를 채우든지 100세를 채워 가게 되면 갈 때를 대강 알게 되므로 미리 준비를 하겠지만, 아무도 그걸 알 수 없기 때문에 사후에 여러 가지 문제가 일어나게 됩니다.

 

특히 부동산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이 문제에 유독 신경을 써야 합니다. 유족들이 모두 한 곳에 모여 살고, 법이 정한대로 순순히 상속을 받으면 별 탈이 없겠지만 집 나가서 연락이 안 되는 자식도 있고, 외국에서 영주권을 얻어 살고 있는 자식들도 있게 되면 수년째 상속처리를 못해 애를 태우게 됩니다.

 

유족 중에 욕심이 많아서 혼자 독식을 하려고 가족끼리 싸우는 사람도 있고 형제간에 원수처럼 지내는 집도 부지기수입니다. 상속재산은 없어도 문제지만 있어도 없을 때보다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필자는 법률사무를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수시로 이런 사례를 접하게됩니다.

 

-제일 머리 아픈 사건은 가족간에 재산싸움을 하는 사건이고,

-제일 마음 아픈 사건은 코흘리개 자식 놔두고 이혼하는 사건이며,

-제일 웃기는 사건은 간통사건입니다.

 

-사례. 살아생전 팔아서 나눠주마.-

 

甲은 가족관계가 좀 복잡했었다. 갑이 죽게 되면 상속문제를 두고 법적다툼이 일어날 소지가 많은 가정이었다. 갑은 세 곳에 가정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젊었을 때 힘이 좋았었는지 자식도 8명을 두었다나? 그래서 살아생전에 재산을 팔아서 적당히 증여를 하려고 강남 땅 1000평을 큰 아들인 A에게 매도위임을 했다.

 

큰 아들 A는 2013.1.25. 갑의 인감증명서를 발부받아 위임장을 작성한 후 각 중개업소에 매도의뢰를 했고 매수인은 여러 곳에서 나타났다. 그해 2.10. 중개업소에서는 매수인을 붙여 계약을 하자고 하여 대금 10억에 무사히 매매계약을 마쳤다.

 

소유권이전등기일은 15일 후인 그해 2월 25일로 정했다. 그러나 이전등기 5일 전인 2월20일 갑은 사망해 버렸다. 갑은 평소 건강했기에 100세까지 살 줄 알았지만 어느 날 사라지는 뜬구름처럼 갑자기 죽게 된 것이다. 떨어지는 낙엽을 누가 막으랴?

 

드디어 2월 25일 잔금 날이 되었다. A는 어차피 매도 위임을 받고 정당하게 계약을 한 것이므로 소유권을 넘겨주는 일도 괜찮을 것으로 믿고, 얼른 동사무소로 가서 갑의 인감증명을 다시 발부받아 법무사에게 넘겨주고 잔금을 받았다.

 

계약 후 수일이 지나서야 매수인은 갑이 이미 2월20일 사망한 사실을 알고 소유권이전등기의 무효를 주장하면서 A를 사문서위조죄 등 죄로 고소하였다.

 

A는 부친이 살아생전 매도위임을 했고, 살아생전에 팔라는 대로 팔았을 뿐, 내 행위에는 잘못이 없다는 주장을 되풀이 하면서 계약은 유효라고 한다. 또 무슨 얼어 죽을 형사고소냐고 따지며 달려든다.

여러분이 변호사라면 어떻게 판단하시겠습니까?

 

1. A의 주장이 맞다. 갑이 살아생전에 매도위임을 한 것이므로 인감증명을 언제 발부받았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매매계약은 정당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2. 아니다. 설사 그렇게 됐다 하더라도 이미 사망한지 5일이 지난 사람의 인감증명과 위임장은 무효이다. 그러나 형사고소감은 아니다.

 

3. 갑이 매도위임을 했다 하더라도 사망하게 되면 그때부터 위임은 효력을 잃는다. 사망 후 대리인에 의한 인감위임은 무효이고, A는 사문서위조나 행사죄의 죄책을 면하기 어렵다.

 

-사례에 대한 해설-

 

사람이 사망을 하게 되면 숨이 멈추는 순간 모든 권리능력이 없어집니다. 따라서 갑이 사망을 하게 되면 그때부터 모든 위임관계 내지 포괄적인 대리관계는 종료되는 것으로 보아야하고 A로서는 아무리 부자관계의 일이라 할지라도 부친의 명의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입니다.

 

정당하게 매매계약이 이루어진 후 소유권이전등기 직전에 매도인이 사망하거나 매수인이 사망하여 주위를 당황하게 만드는 일이 가끔 일어날 수 있습니다.그럴 때 편의를 좇다보면 법을 어기는 일이 발생 할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A는 부친이 돌아가셨다 하더라도 위 소유권이전등기 행위에는 묵시적, 추정적 승낙이 있었다고 볼 것이며, 다만 편의상 이루어진 일이므로 형사고소 또한 가치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법을 위반한 행위만은 분명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매수인 앞으로 이미 이전돼버린 소유권이전등기는 어찌해야 할까요? 다시 말소하고 법에 따른 세금을 물고 상속처리를 해야 할 것입니다. 협의 분할에 의한 등기를 하든지, 공동등기를 한 다음 매수인 앞으로 이전해야 할 것이나 실무상 그렇게 되지 않고 있음을 참고 하십시오.

 

21세기 부동산 힐링캠프(부동산 카페) 운영자. http://cafe.daum.net/2624796

법무법인 세인(종합법률사무소) 사무장. http://cafe.daum.net/lawsein

pobysun@daum.net 010-4878-6965. 031-216-2500